1장. 두려움을 이겨 내는 작은 것들의 힘
2장. 창의성을 자극하는 '작은 질문'의 힘
3장. 상상이 현실이 되는 '작은 생각'의 힘
4장. 끝까지 계속하게 만드는 '작은 행동'의 힘
5장. 장애물을 제거하는 '작은 해결'의 힘
6장. 자신감을 북돋는 '작은 보상'의 힘
7장. 위대한 성취를 만드는 '작은 순간'의 힘
- 아주 작은 반복의 힘 中 -
로버트 마우어 - 아주 작은 반복의 힘
올해의 절반이 지나갔다. 올해의 3분기가 된지도 한 달이 되었다. 24년 올해 목표는 얼마나 이뤘을까? 아마 1/5도 달성하지 못한 것 같다. 소소하게 올해에 주 3회 운동하기, 매일 30분 외국어 공부하기, 재테크 공부 및 세미나 다니기 등등 여러가지를 알차게 세웠지만, 올해의 반이 지난 지금 이룬것이 몇개 없는 것 같다. 매년 이렇게 거창하게 계획을 세워두고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가 뭘까..ㅠ
이러한 궁금증이 생겼다.
- 사람들은 어떻게 성공하는가?
- 성공한 사람들은 어떻게 그 성공을 유지하는가?
《아주 작은 반복의 힘》은 거창한 계획 대신 아주 작게 시도할 수 있는 방법들을 제안한다. 그러면 어느새 그것을 매일 혹은 주기적으로 하고 있는 스스로를 발견하고, 재미 또한 느끼고 있어서 힘이 들지 않게 하고 있을 것이라고.
인간의 뇌는 변화를 싫어한다. 인간의 뇌는 진화적으로 생존을 위해 환경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방어 반응'은 원시 시대에는 생존에 유리했지만, 현대에서는 새로운 시도를 할 때 변화를 위협으로 인식해 결심을 지속하기 어렵게 만든다.
'스몰 스텝 전략'은 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변화를 아주 작은 단계로 나누어 시작하는 방법이다. 우리의 뇌는 큰 변화를 위협으로 인식해 방어 반응을 일으키지만, 변화가 너무 작아 알아차리지 못할 정도라면 뇌는 이를 도전으로 인식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인 다고 설명한다. 이렇게 작은 변화에 익숙해지면, 점차 그 변화를 조금씩 늘려가는 것인데, 이 전략을 통해 방어 반응을 피하면서도 목표를 지속적으로 향해 나아갈 수 있어, 궁극적으로 큰일도 달성할 수 있다.
스몰 스텝 (Small Step) 전략은
뇌가 놀라지 않도록 아주 가볍고, 아주 작게 변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 아주 작은 반복의 힘 中 -
새로운 것을 시도하려고 하면, 두려움에 쉽사리 사로잡히게된다. 이런 상태가 되면 창의성과 성공은 가로막히고 변화는 어려워 진다. 작은 변화는 성공과 창의성을 가로막는 마음의 벽, 즉 두려움을 회피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말이 사실이다. 작게 시작하고, 작은 것부터 시도해 보자.
발걸음이 작다 해도, 그 발걸음이 이룬 것은 작지 않다.
비록 작은 것으로 시작했지만 그 끝은 결코 작지 않다.
각자에게 적용가능한 스몰 스텝 6가지 전략
1. 두려움을 몰아내고 창조력을 고무시키는 작은 질문을 던진다.
2. 새로운 기술과 습관이 개발하기 위해 작은 생각을 품는다.
3. 성공이 보장된 작은 행동을 시작한다.
4. 위기에 직면했을 때 작은 해결 방안을 마련한다.
5. 최고의 결과를 얻기 위해 스스로와 다른 이에게 작은 보상을 한다.
6. 모두가 무시하고 있는 결정적인 작은 순간을 찾아낸다.
미국 대학 농구 역사상 가장 성공적인 코치로 기억되는 존 우든은 점진적 전략을 차용하여 이렇게 말했다.
매일 조금씩 바꿔 나라가. 종국에는 큰 변화가 일어난다.
내일도 아니고 모레도 아니지만 결국에는 큰 것을 얻게 된다.
크고 빠르게 변화하려고 하지 마라.
하루에 하나씩 작은 것부터 바꿔 나가라.
그것만이 변화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그렇게 해야 지속할 수 있다.
삶이 두려워지고 힘들어지면 우리는 편하고 익숙한 곳에서 해결책을 찾으려고만 한다. 진짜 해결책이 있는 곳은 어둡고 불편한 장소일 것이다. 어떤 것에 관심이 생길수록, 더 많은 꿈을 꿀수록 두려움이 솟아난다. 두려움을 피하지 말고 당연하게 받아들이고 야망을 품을 때 자연스럽게 나타나는 신호로 여겨서 희망을 유지하고 스스로 낙관적으로 만들 수 있도록 노력하자.
처음에 시도했던 작은 변화가 어렵다면 더 작게 목표를 설정해보자. 진짜 목표는 더 작은 것이다. 작은 행동을 선택한 이유는 노력한다는 느낌조차 들지 않게끔 만들어 뇌의 거부반응과 두려움을 우회하는 것이다. 행동이 쉬워야 뇌가 거부감을 느끼지 않고 변화를 받아들일 수 있다. 더 큰 목표는 그다음으로 미뤄보자.
목표 달성을 위해 내가 할 수 있는 가장 작은 일은 무엇일까?
- 아주 작은 반복의 힘 中 -
책소개
습관의 비밀을 밝힌 22년의 연구 성과!
UCLA 의대 대학에서 발견한 ‘목표 달성’의 비결!
새해 결심이 성공할 확률은 8%에 불과하다. 아무리 굳게 결심을 하더라도 사람들의 25%는 1주일 안에 포기하고, 50%는 1달 안에 포기한다. 왜 결심은 이토록 짧게 지속되고 마는가? 그것은 자신의 능력을 넘어서는 방식으로 시작했기 때문이다. 우리의 뇌는 환경이나 행동의 변화를 생존의 위협으로 받아들인다. 따라서, 변화가 급격하고 과격할수록 뇌의 저항도 강렬하고 격해진다. UCLA와 워싱턴 의과대학에서 교수로 재직 중인 로버트 마우어 박사는 22년 동안 습관의 비밀을 연구한 끝에 변화를 싫어하는 뇌의 저항을 피해 결심을 끝까지 해내는 방식인 ‘스몰 스텝 small step 전략’을 발견했다. 뇌가 놀라지 않게 아주 가볍고, 아주 작게 변화를 시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하루에 운동을 1시간씩 하겠다고 결심하는 것이 아니라 하루에 1분으로 시작하고, 하루에 공부를 2시간씩 하겠다고 결심하는 것이 아니라 하루에 단 5분으로 시작하는 것이다. 스몰 스텝 전략은 개인뿐 아니라 기업, 병원, 대학, 정부 기관 등을 포함한 다양한 조직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엄청난 효과를 입증하고 있다. 이 책에 등장하는 생생하고도 과학적인 사례를 통해, 독자는 아무리 큰 결심과 목표라도 쉽게 달성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yes24 제공]
목표 달성의 실패는 과대평가와 과욕에서 비롯된다.
올해 목표했던 것도 과대평가와 과욕에 의해서 실패 했을 것 같다. 인생에서 중요한 것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과 지속력이다. 목표는 너무 쉬워서 실패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은 수준에서 시작해야 합니다. 《아주 작은 반복의 힘》을 읽는 직장인, 학생, 기업가 등 스몰 스텝을 통해 속도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목표를 위해 작은 것부터 실천해서 목표를 꼭 이루길 바란다.
예전 일본의 한 영화의 제목이 끌려서 본적이 있다.
SMALL, SLOW BUT STEADY 극중 주인공은 청각장애인으로 권투에 입문하여 선수생활까지 하게 되는 이야기 이다. 작지만 천천히 하지만 꾸준히 하는 모습에서 우리도 목표를 작게 시작해서 꾸준히 달성하려고 노력해보면 좋을 것 같다.
매 순간 자신의 가능성을 이끌어 내는 것보다
인생에 있어 더 중요한 것이 있는가?
- 아주 작은 반복의 힘 中 -
'Books and .. > 자기계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더의 생각』 @세상에 멍청한 질문은 없다 (4) | 2024.12.19 |
---|---|
『헛스윙』@발전에는 헛스윙이 필요해 (66) | 2024.06.28 |
『부자는 됐고, 적당히 벌고 적당히 잘사는 법』@중간은 쉽나? (81) | 2024.05.12 |
『꿈은 모르겠고 돈이나 잘 벌고 싶어』@N잡러를 위한 SMART 기법 (0) | 2024.03.24 |
『나를 죽이는 건 언제나 나였다』@고학력 ≠ 업무 수행 능력 (6) | 2023.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