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342

자바(Java) - 조건문2 (switch문) 이전 포스트 if조건문에 이어, 2020/09/10 - [JAVA/4. 조건문과 반복문] - 자바(Java) - 조건문1 (if문) 자바(Java) - 조건문1 (if문) 조건문은, if - else 문 if - else if - else 문 if문을 이용하여, 주사위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자. 이와 비슷하게 로또도 할 수 있다. int lotto = (int) (Math.random() *45) + 1; 본 내용은 #혼자공부하는.. dustink.tistory.com 이번에는 switch 조건문이다. switch문은 변수의 값에 따라 실행문이 결정 if문은 이거 아님 저거아님 저거. 이런 느낌이라면, switch문은 이값이면 이거, 저값이면 이거 그런 느낌이다. 이게.. 이해가 잘 안될 수도 있으니, 예.. 2020. 9. 10.
자바(Java) - 조건문1 (if문) 조건문은, if문은 조건식의 결과가 true, false 이냐에 따라 실행문이 결정 switch문은 변수의 값에 따라 실행문이 결정 조건문은 굉장히 많이 사용되는 것 같다. 기본적으로 이해하고 제대로 숙지해야될 부분 중 하나 이다. 프로그래밍을 할때 항상 조건은 존재하며, 어떤 프로젝트를 하더라고 무조건 사용되니 잘 이해하자. if문 if문은 조건식이 true이면 블록을 실행하고, false이면 블록을 실행하지 않는다. if - else 문 if - else if - else 문 if문을 이용하여, 주사위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자. 이와 비슷하게 로또도 할 수 있다. int lotto = (int) (Math.random() *45) + 1; 본 내용은 #혼자공부하는자바 책을 참고해 공부하려 작성했습니다. 2020. 9. 10.
자바(Java) - 연산자 종류5 (삼항 연산자) 삼항연산자는 3개의 피연산자를 필요로 하는 연산자 이다. 조건식(피연산자1) ? 값 또는 연산식(피연산자2) : 값또는 연산식(피연산자3) 피연산자1과 피연산자2를 비교해서 true면, 결과 값은 피연산자2 이다. 그런데, 피연산자1과 피연산자2를 비교해서 flase면, 결과 값은 피연산자3 이다. 한 줄로 간단하게 작성할 수 있으니, 둘 중의 하나의 값을 받는 경우라면, 삼항연산자가 좋을 듯 하다. 삼항 연산자: (조건식) ? A : B 조건이 true면 A 산출, false면 B산출 본 내용은 #혼자공부하는자바 책을 참고해 공부하려 작성했습니다. 2020. 9. 9.
자바(Java) - 연산자 종류4 (이항 연산자 - 대입 연산자) 대입연산자는, 오른쪽 피연산자의 값을 왼쪽 피연산자인 변수에 저장한다. 대입 연산자가 어떻게 보면 표현하는게 간편해진 건데, 약간 헷갈리기도 하다. 연산이 여러개 인경우 연습도 해바야겠다. 본 내용은 #혼자공부하는자바 책을 참고해 공부하려 작성했습니다. 2020. 9. 9.
자바(Java) - 연산자 종류3 (이항 연산자 - 비교, 논리 연산자) 비교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대소 또는 동등을 비교해서 true/false를 산출한다. 대소 연산자는 boolean을 제외한 기본 타입에서 사용 동등 연산자는 모든 타입에서 사용 비교연산자는 흐름 제어문인 조건문(if), 반복문(for, while)에서 주로 이용되어 실행 흐름을 제어할 때 사용 예시를 보면 이해가 쉬울 것같다. 그러나, 한가지 예외가 있다. 'A' == 65 //true 3 == 3.0 //true 0.1 == 0.1f //false 0.1f가 왼쪽 double타입으로 변환되어 true가 나와야 하지만 결과는 false이다. 이유는 자바에서 실수의 저장 방식인 부동 소수점 방식이 0.1을 정확히 표현할 수 없기 때문. 0.1f는 0.1의 근사값 (0.10000000149011612)으로 .. 2020. 9. 9.
자바(Java) - 연산자 종류2 (이항 연산자 - 산술, 문자열 결합 연산자) 이항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2개인 연산자 이다. 산술 연산자 문자열 결합 연산자 비교 연산자 논리 연산자 대입 연산자 등등. 산술 연산자 사칙 연산 +, -, *, /, % 가 있다. 모두 본 연산이겠지만, % 는 처음 일수도 있겠다. %는 나눗셈을 하고 몫이 아니라 나머지 값을 구할 때 사용한다. 산술 연산자의 특징은, 피연산자들의 타입이 동일하지 않은 경우 아래와 같은 규칙을 사용해서 피연산자들의 타입을 일치 시킨 후 연산을 수행한다. 피연산자가 byte, short, char 타입인 경우 모두 int 타입으로 변환 후 연산 피연산자가 모두 정수 타입이고 long이 포함도니 경우, 모두 long 타입으로 변환 후 연산 피연산자 중 실수 타입이 있을 경우, 허용 범위가 큰 실수 타입으로 변환 후 연산 c.. 2020. 9. 9.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