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돈이 안 모인다고? 통장 구조부터 바꿔봐요!”
첫 월급을 받으면 기분이 정말 좋죠. 그런데 월급이 들어오고 나면 어디로 샜는지 모르게 통장이 텅 비는 경험, 한 번쯤 해보셨을 거예요.
사회초년생 시절의 재테크는 ‘통장쪼개기’에서 시작됩니다. 돈을 모으고, 관리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본이자 강력한 방법이죠.
◈ 왜 ‘통장 쪼개기’가 중요한가요?
돈은 ‘의지’로 모으는 게 아니라, ‘구조’로 모아집니다.
통장 하나에 모든 돈을 넣고 쓰다 보면, 지금 얼마나 썼는지, 얼마나 남았는지 헷갈리기 쉬워요. 반면, 목적에 따라 돈을 구분해 놓으면 지출 통제도 쉬워지고, 소비 습관도 자연스럽게 개선됩니다.
◈ 첫 월급 받았다면, 통장 이렇게 쪼개세요!
① 월급 입금 통장 (수입용)
- 회사에서 월급을 받는 통장입니다.
- 자동이체만 설정하고 평소에는 쓰지 않기!
- 비율: 100% (급여만 받고, 모두 이체!!)
② 생활비 통장 (지출용)
- 카드와 연결해 사용하는 통장.
- 월 예상 생활비만큼만 이체해서 사용하세요.
- 예: 식비, 교통비, 쇼핑, 구독료 등
- 비율: 40~50% (더 빨리 모으고 싶다면 조금 더 줄여요!)
③ 저축 통장 (목표용)
- 적금, 예금, 투자 등을 위한 통장.
- 자동이체로 강제 저축이 핵심!
- 급여 이체일 다음 날로 설정하면 돈이 빠져나간 후 남는 돈만 쓰게 돼요.
- 비율: 30~40% (더 빨리 모으고 싶다면 조금 더 저축하세요!)
④ 예비 통장 (비상금용)
- 비상시에 사용하는 통장.
- 급여 통장과 생활비 통장에서 남은 금액은 이체해요.
- 비율: 10% (생활비에서 남으면 예비 통장으로 넣어서 더 저축하세요!)
각 통장의 비율은 본인 생활 패턴에 맞게 조율해 보세요!
◈ 처음부터 너무 완벽하려고 하지 마세요
처음부터 4개의 통장을 만드는 게 부담스럽다면, 월급 통장 + 생활비 통장 + 저축 통장 세 개부터 시작해도 충분해요. 습관이 들면 자연스럽게 투자까지 확장해 나갈 수 있어요.
✅ 실천 팁 3가지
- 자동이체 활용하기
- 지출 통장은 ‘체크카드’로만 연결
- 비상금은 CMA 통장 활용
◈ 통장의 구조화 만들기
사회초년생에게 가장 중요한 건 “작은 돈이라도 내가 직접 관리한다”는 감각입니다.
실물 통장을 이제는 사용하지 않지만, 은행 앱을 통하여 각 계좌를 생성해서 계좌마다 "별칭"을 적고 관리해보세요.
복잡한 투자나 큰 돈은 아직 몰라도 괜찮아요. 하지만 ‘통장 구조화’는 지금 당장 실천할 수 있는 최고의 재테크 습관입니다.
각 계좌를 나눠서 관리하면서 재테크의 감을 길러봐요 :)
728x90
반응형
'Life balanced > 재테크 돈 굴리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초년생 재테크 #3] 재테크 실패 줄이는 ‘내 소비패턴 파악법’과 개선 전략 (6) | 2025.06.15 |
---|---|
[사회초년생 재테크 #2] 월급 받으면 무조건 해야 하는 ‘돈 관리 기본 루틴’ (5) | 2025.06.11 |
⌜적금⌟ 언제 가입하고 언제 납부해야 유리할까? (4) | 2025.06.03 |
하나은행 펀드 간단하게 해지하기 (하나원큐 1Q 앱) (2) | 2024.10.22 |
(신협 은행) 조합원 가입 및 출자금 통장 개설 방법 (비대면) (18) | 2024.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