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fe balanced/재테크 돈 굴리기💲

[사회초년생 재테크 #2] 월급 받으면 무조건 해야 하는 ‘돈 관리 기본 루틴’

a.k.a DUKI 2025. 6. 11. 22:59
728x90
반응형

 

“돈을 모으고 싶다면? 
결심 말고 시스템부터 만들자.”

 

 

📌 이 글 10초 요약 - 바쁜 당신을 위한 한눈 정리  👀

더보기
루틴 번호 핵심 내용 목표
루틴 1 자동이체 설정 월급날, 돈을 숨기는 구조 만들기
루틴 2 3 가계부 작성 소비 흐름 파악 & 습관 교정
루틴 3 3 소비 멈춤법 충동구매 차단 루틴
루틴 4 주간 소비 리뷰 과소비 요인 파악 & 다음  전략 설정
루틴 5 월간 정산 나의 재정 상태 전체 점검

 

 

◈ 왜 ‘돈 관리 루틴’이 필요할까?

월급이 통장에 들어왔다가 금세 사라지는 이유는 의지 부족이 아니라 시스템 부재 때문이다. 습관화된 루틴이 없으면, 급하게 쓰고 싶은 마음이 루틴을 대신한다.

돈이 보이면 쓰게 되는 인간 심리를 인정하고 보이는 구조 만드는 첫걸음이다.

@Frugal Flyer

 

◈ 루틴 1 ― ‘월급날 + 1일’ 자동이체

돈을 ‘모으는 사람’과 ‘못 모으는 사람’의 차이? 돈을 먼저 ‘숨기느냐’, 나중에 ‘남기느냐’이다.

자동이체는 돈을 지키는 ‘기본 방어 시스템’이다. 다음과 같은 계좌 구조를 추천한다.

  1. 급여 통장생활비 통장
    • 월 예상 생활비(교통·식비·구독료 등)만큼만 이체
    • 체크카드만 연결, 신용카드 봉인
  2. 급여 통장저축·투자 통장
    • 월급 다음 날 오전으로 자동이체 예약
    • 적금·ETF·연금저축 같은 ‘미래용’ 계좌에 우선 배분
  3. 급여 통장예비 통장(CMA·파킹통장)
    • 급한 의료비·경조사비 대비
    • 잔액이 30만 원 이상이면 자동으로 CMA로 이동
💡 Tip: 이 루틴만 세팅해도 80%의 돈이 저절로 관리된다. ‘월급이 들어오기 전에’ 이체 예약을 완료해 두면, 월급이 찍히는 순간 바로 돈이 빠져나가 사용 가능한 돈만 남는다.

@pnc

 

◈ 루틴 2 ― 하루 1분, 3줄 가계부

“가계부 쓰기 귀찮아요.” → 오히려 좋아. 그래서 ‘3줄만 쓰는’ 미니 가계부를 만든다.

예시)

  • 오늘 사용: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4,800원
  • 남은 생활비: 398,200원
  • 메모: 회의 끝나고 기분 전환용, 낭비 아님

이런 식으로 간단하게 하루 소비를 정리하면, 

소비 흐름이 ‘패턴’으로 보이고, 돈 쓸 때 ‘한 번 더 생각’하게 되고, 지출에 대한 감정 (후회/만족)을 체크 할 수 있다.

💡 스마트폰 메모앱, 노션, 가계부 앱(편한 걸로 OK), 중요한 것은 지속 가능할 만큼 간단하게!

@Kateryna Hliznitsova

 

◈ 루틴 3 ― ‘3초 소비 멈춤법’

한 달 후, 너는 ‘이 물건’을 기억조차 못할 것이다.

충동구매의 90%는 ‘지금 아니면 안 될 것 같은 기분’ 때문인데, 3초만 멈추고 다음 3가지를 자문해 보자.

  1. 정말 필요한가?
  2. 지금 사야 하나?
  3. 1년 후에도 이 돈을 같은 곳에 쓸까?

통과 못하면 장바구니에 넣고 24시간 보류. 대부분의 물건은 하루만 지나면 욕구가 줄어든다.

💡 인간은 ‘지금 기분’을 해소하려고 돈을 쓴다. 그래서 ‘지금’ 멈추는 훈련이 가장 효과적이다.

@Artem Beliaikin

 

 

◈ 루틴 4 ― 주간 리뷰 (일요일 10분)

돈 관리는 숫자보다 피드백이다. 리뷰 없으면, 같은 실수를 매주 반복한다. 어떻게 할까?

  1. 한 주 지출 총합 확인
  2. 원인 분석
  3. 작은 액션 설정

스스로에게 ‘왜 그렇게 썼는지’를 물어보면, 습관의 패턴이 보이고, 그게 바뀐다.

💡 매주 일요일 저녁, 10분이면 충분하다. 브루잉 커피 한 잔 마시면서 돈을 돌아보는 시간, 그게 다음 주를 바꾼다.

@Frank van Hulst

 

◈ 루틴 5 ― 월간 정산 (월 말 30분)

돈을 모으는 데 가장 중요한 건 ‘나의 큰 그림’을 보는 것.
월 단위로 정산하면서, 숫자로 내 삶을 돌아보자.

 

💰 체크할 것들

구분 목표치 어떻게 체크할까?
저축률 수입의 30% 이상 급여 - 생활비 = 남은 돈의 비중
투자 수익률 전월 대비 + 유지 ETF·펀드 수익 확인
비상금 규모 최소 3개월치 생활비 CMA·파킹통장 잔액

 

월말에 이 3가지만 확인해도, 내 돈이 늘고 있는지, 줄고 있는지 한눈에 보인다.

그리고 다음 목표를 새로 잡는 순간, 당신은 수동 소비자능동 자산가 바뀌는 것이다.

@Natasha Chebanu

 

돈 관리’는 습관이다

월급이 들어왔을 때 어떤 루틴을 가지고 행동하느냐는, 시간이 지날수록 재정의 격차를 만든다. 작은 습관이 큰 차이를 만든다는 건 재테크에도 정확히 적용된다.

‘자동 이체로 지출 통제 → 선저축 → 투자 → 기록 → 회고 이 루틴은 단순하지만 강력하다.
돈은 통제하는 사람이 모으고, 무심코 쓰는 사람은 늘 부족하다. 당장 오늘부터라도 이 루틴을 실천해보자. 처음엔 조금 낯설 수 있지만, 3개월만 유지해 보면 확실히 달라진 자신을 보게 될 것이다.

@Alexander Grey

 

돈을 통제하는 습관, 지금부터 시작하자.
매달 같은 월급이 들어와도, 남는 돈은 다를 수 있다.

 

 


 

📚 [사회초년생 재테크 시리즈] 글을 하나씩 따라 읽고 싶다면? 

1편 ▶ [사회초년생 재테크 #1] 월급 관리, 통장 이렇게 쪼개면 !

2편 ▶ 현재 글  

 

3~5편은 발행 예정입니다! ‘구독좋아요 알림 받아보세요 :) 

 

 

728x90
반응형